세종캠퍼스

교과목 소개

 

일반공통과목

학수번호

교과목명

과목개요

GRA506

Data ScienceAI 개념

(Data Science &AI)

Data Science의 개념을 데이터 과학의 체계 및 절차, 그리고 방법론 등에 대한 개관을 통하여 습득하고, AI의 개념을 역사, 기초 지식, 활용 방법, 활용 사례 등을 통하여 이해한다.

GRA507

인공지능 개론

(Introduction to A.I)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머신러닝 및 딥러닝)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 인공지능의 개념 및 최근 연구동향을 알고, 기초적인 프로그래밍을 통해 인공지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보도록 한다.

STE501

데이터사이언스를 위한 통계분석

(Statistical Analysis for Data Science)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과 메타분석(Meta-analysis)을 통한 연구방법론 탐구 및 분석법 탐구 데이터사이언스의 최신동향 및 다양한 통계 분석 TOOL 고찰 R 프로그램 활용한 메타분석 실습 및 보고서(논문) 활용 탐구 그룹별 및 모듈형 수업 과정 도입에 따른 학습탐구의 자율성 확대

GLB501

데이터기반 연구조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with Data Analysis)

디지털 관리, 특히 e-비즈니스에서 연구의 기본 개념과 방법론을 소개한다. 이 과정에서 통계적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를 제공하고 연구 방법론의 보다 정교한 통계적 추론을 다룬다.

PUP501

데이터베이스 연구조사방법론

(Data-based Research)

양적 사회연구에는 확립된 사회 이론에 따라 경험적 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해석하는 일련의 프로세스가 포함된다.

CUS501

데이터기반 논문작성

(Date-based Thesis Writing)

학문 영역별 데이터분석을 이용한 논문 작성에 필요한 이론 및 방법론을 다룬다. 즉 양적연구의 실제적 방법론을 근거로하여 연구주제선정에서부터 연구방법, 측정도구 그리고 통계 분석 및 결론도출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으로 그 주요 내용을 학습한다.

CUS502

4차 산업시대의 인문학

(Humanities in the 4th Industrial Era)

4차 산업시대가 만들어내는 미래사회의 변화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존재적 가치인 실존 또는 생존문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새로운 변화의 환경에서 인문학의 방향성을 찾기 위해 다양한 인문학 지식의 습득과 인문학적 사고를 구축한다.

 

기초공통과목

학수번호

교과목명

과목개요

MHJ501

문화재학연구

(CULTURAL RESOURCE STUDIES)

문화재의 개념분석, 학문으로서의 문화재, 그것의 사회적 효용, 각국의 연구 현황 등의 문제를 검토 한다.

MHJ502

고고학연구방법론

(ARCHAEOLOGICAL METHODOLOGY)

기본적인 고고학의 연구 방법에 대한 지금까지의 제 이론을 살피고 이를 한국고고학의 연구에 어떻게 적용시켜 왔는지 그 구체적인 사례를 검토한다. 그리고 앞으로 한국고고학에 있어서 외국의 이론을 어떻게 수용 및 정립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인지에 대해 연구한다.

MHJ503

미술사학원론연구

(INTRODUCTION TO HISTORY OF ART)

미술사학의 학문적 성격과 사회적 효용을 다룬다. 문헌사학과의 관계, 사회문화와의 관계를 심층적 으로 분석한다.

MHJ504

박물관학연구

(MUSEUM STUDIES)

세계 박물관의 역사, 기능, 고고학?미술사학?민속학과의 관계, 특히 한국 박물관의 문제 등을 검 토한다.

MHJ505

문화재세미나1

(CULTURAL RESOURCE SEMINER1)

미술사연구의 기본이 되는 일차사료인 문화재의 가치와 보존 · 철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MHJ506

문화재세미나2

(CULTURAL RESOURCE SEMINAR2)

미술사연구의 기본이 되는 일차사료인 문화재의 가치와 보존 · 철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MHJ507

문화유산콜로키움1

(CULTURALL HERITAGE COLLOQIUM1)

문화유산 전공 분야의 다양한 연구자 초청강연을 통해 최신연구동향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 참여자간 토의를 진행한다.

MHJ508

문화유산콜로키움2

(CULTURALL HERITAGE COLLOQIUM2)

문화유산 전공 분야의 다양한 연구자 초청강연을 통해 최신연구동향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 참여자간 토의를 진행한다.

MHJ521

문화유산과빅데이터

(CULTURAL HERITAGE AND BIG DATA)

문화유산에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정도와 범위를 학습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서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문화유산 연구방법 학습

MHJ522

문화유산디지털애플리케이션

(DIGITAL APPLICATIONS OF CULTURAL HERITAGE)

 

3D, GIS 기술 등을 이용하여 문화유산의 측량 데이터, 입면 모델, 3D 모델 활용방법 학습

MHJ523

스마트기술융합문화유산학1

(SMART TECHNOLOGY AND CULTURAL HERITAGE CONVERGENCE 1)

문화유산에 접목되는 다양한 스마트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융합 과정과 배경 학습

MHJ524

스마트기술융합문화유산학2

(SMART TECHNOLOGY AND CULTURAL HERITAGE CONVERGENCE 2)

고고학이나 미술사학 등 관련 분야에서 3D, Geo-ICT, 5G, AI, AR, VR 등 스마트기술을 적용하는 구체적인 사례 연구 및 학습

MHJ525

문화유산정책과지역사회

(CULTURAL HERITAGE POLICY AND REGIONAL SOCIETY)

문화유산의 보존, 관리, 활용 등 다양한 정책 현안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문제를 파악하고 학습하여 적절한 대안 모색

MHJ526

디지털문화유산콘텐츠

(DIGITAL CULTURAL HERITAGE CONTENT)

훼손되거나 사라진 문화유산을 복원하거나 문화재 전시의 새로운 대안으로 이용되는 디지털문화유산에 대한 관련 사례와 새로운 산업으로 부상하는 디지털문화유산의 다양한 콘텐츠 학습

MHJ551

고고학의이론과방법1

(THEORY AND METHODS IN ARCHAEOLOGY 1)

서양에서 연구된 고고학의 기본적인 이론과 방법을 검토한다.

MHJ552

고고학의이론과방법2

(THEORY AND METHODS IN ARCHAEOLOGY 2)

동양에서 연구된 고고학의 기본적인 이론과 방법을 검토한다.

 

전공과목 (전공선택)

학수번호

교과목명

과목개요

MHJ553

야외고고학1

(INTRODUCTION TO FIELD ARCHAEOLOGY)

실제 발굴 현장에서 고고학의 이론과 방법을 적용하여 조사·연구한다.

MHJ554

야외고고학2

(INTRODUCTION TO FIEID ARCTAEOLOGY2)

실제 발굴 현장에서 고고학의 이론과 방법을 적용하여 조사·연구한다.

MHJ555

구석기고고학연구

(THE PALAEOLITHIC ARCHAEOLOGY OF KOREA)

한국 구석기문화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세계 속에서 한국 구석기 고고학이 차지하는 위치를 검토한다.

MHJ556

신석기고고학연구

(THE NEOLITHIC ARCHAEOLOGY OF KOREA)

한국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을 통하여 이 시대의 전반적인 사회상을 조명하고 이를 토대로 이 시대 문화의 특질을 구명한다.

MHJ557

청동기고고학연구

(THE BRONZE AGE OF KOREA)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무덤, 유물 등 다각적인 검토를 통하여 청동기시대의 사회적인 성격 및 제지역 의 관계를 살피고 나아가 문화적인 특질을 비교 검토한다.

MHJ558

철기고고학연구

(THE IRON AGE OF KOREA)

철기시대의 복잡한 사회상이 어떻게 전개되어 고대 국가에로 발전되었는지를 구명하기 위해서 철기 유물 혹은 관련 유적을 검토하여 그 특질을 살핀다.

MHJ559

고구려고고학연구

(THE ARCHAEOLOGY OF KOGUYRO)

고구려의 적석총, 고분 벽화, 도성, 주거 양식, 문헌 등을 통하여 이 시대의 문화상을 밝힌다.

MHJ560

백제고고학연구

(THE ARCHAEOLORY OF PACKJAE)

백제의 유적과 유물을 통하여 백제 사회의 변동과 그 원인 및 결과를 해석한다.

MHJ561

신라고고학연구

(THE ARCHAEOLOGY OF SHILLA)

신라의 제문화적인 성격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라고고학의 특성을 검토한다.

MHJ562

가야고고학연구

(THE ARCHAEOLOGY OF KAYA)

가야의 특수한 역사적 환경에 투영되어 나타나고 있는 고고학적인 유적· 유물을 통하여 가야고고학 의 실체에 접근한다.

MHJ568

고고학연습1

(ARCHAEOLOGY : SEMINAR 1)

주로 석사과정을 대상으로 고고학적인 주요 논점에 대해 검토한다.

MHJ569

고고학연습2

(ARCHAEOLOGY : SEMINAR 2)

주로 석사과정을 대상으로 고고학적인 주요 논점에 대해 검토한다.

MHJ570

취락고고학

(SETTLEMENT ARCHAEOLOGY)

인간의 기본적인 생활은 군집생활이다. 그리고 이러한 군집생활은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기도 하고 주변 지역과 교류하기도 하면서 발전 및 변화하기 때문에 취락에 대한 연구는 그 시대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취락에 대한 여러 학설과 그에 대한 연구

MHJ571

토기문화론

(THE POTTERY ANALYSIS)

인간이 남긴 유물 중 가장 많은 것은 일상생활 용기인 토기이다. 이러한 토기에 대한 연구는 당시 사회의 기본적인 정신세계와 그들의 공유된 의식을 엿볼 수 있는 것이므로 토기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 를 통하여 그 시대의 문화상을 연구한다.

MHJ572

석기문화론

(THE LITHIC ANALYSIS)

토기와 더불어 석기는 이기로서 혹은 기본적인 생산 도구로서 철이 발견되기 전까지 인간의 주요 도구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는 당시의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으므로 다각적인 검토를 통하여 지역상 및 문화상을 살핀다.

MHJ573

4기고고층서학

(QUATERNARY ARCHAEOLOGICAL STRATIGRAPHY)

유적 발굴은 층위가 기본이 된다. 본 과목은 제4기 층서학의 최신 이론인 순차 층서학적 방법을 이용, 이들을 어떻게 정밀 기재하는가에 대하여 배우고 이들이 어떤 고환경 하에서 퇴적되었는가 하는 성인 적 기원을 밝히는 여러 문제에 대하여 검토한다.

MHJ601

한국미술사특강

(TOPICS IN KOREAN ART HISTORY)

한국 미술사의 전체적인 흐름 및 미술사 연구의 기초를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어 강의한다.

MHJ603

한국조각사연구

(HISTORY OF KOREAN SCULPTURE)

한국 조각사의 전체적인 흐름과 시대적 변천에 따른 특징을 이해하며, 나아가 조각에 대한 한국인의 자세를 통시대적으로 탐구한다.

MHJ604

한국공예사연구

(HISTORY OF KOREAN HANDCRAFTS)

도자, 금속, 유리, 목칠, 섬유 등 공예 분야에서 탁월한 예술적 경지를 펼쳐낸 한국인의 공예 세계를 연구한다.

MHJ605

한국건축사연구

(HISTORY OF KOREAN ARCHITECTURE)

한국 건축사의 시대적 특성을 탐구하며 인간과 자연의 관계속에서 건축에 대한 한국인의 자세를 살펴 본다.

MHJ627

미술사연습1

(HISTORY OF ART : SEMINAR 1)

주로 석사과정을 대상으로 미술사학적인 주요 논점에 대해 검토한다.

MHJ628

미술사연습2

(HISTORY OF ART : SEMINAR 2)

주로 석사과정을 대상으로 미술사학적인 주요 논점에 대해 검토한다.

MHJ629

한국회화사연구1

(HISTORY OF KOREAN PAINTING 1)

한국 회화에 나타난 시대별 양식과 그 의미를 고찰한다. 아울러 회화의 각 시대 정신과 가치 그리고 한국적 특성을 탐구한다.

MHJ636

한국근현대미술사연구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KOREA)

근 현대미술의 개념과 변천 내용 등을 탐구한다. 나아가 근·현대 미술이 갖는 가치와 의미를 파악하고 한국미술사에 정당한 자리매김을 도모한다.

MHJ640

한국회화사연구2

(HISTORY OF KOREAN PAINTING 2)

한국 회화에 나타난 시대별 양식과 그 의미를 깊이 있게 고찰한다. 아울러 회화의 각 시대 정신과 가치 그리고 한국적 특성을 탐구한다.

MHJ641

한국도자사연구1

(HISTORY OF KOREAN CERAMICS 1)

한국 도자의 재료와 제작기법을 고찰하고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도자 양식 변천과 대외 교류를 살펴본다.

MHJ642

한국도자사연구2

(HISTORY OF KOREAN CERAMICS2)

조선시대 도자의 시대별 양식 특징과 대외 교류 관계를 파악하고 사상과 수요 계층과의 연관성을 고 찰한다.

MHJ646

도자사특수연구

(STUDY ON THE SPECIFIC TOPIC OF CERAMIC)

최근 도자사 연구 경향과 주된 논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과 주제의 방향성을 고찰하여, 논문 작성에 필요한 연구 역량 함양을 그 목표로 한다.

MHJ801

고고학세미나1

(ARCHAEOLOGY : DIRECTION OF DISSERTATIONS 1)

박사학위 논문을 주제로 발표 및 토론한다.

MHJ802

고고학세미나2

(ARCHAEOLOGY : DIRECTION OF DISSERTATIONS 2)

박사학위 논문을 주제로 발표 및 토론한다.

MHJ803

고고학세미나3

(ARCHAEOLOGY : DIRECTION OF DISSERTATIONS 3)

박사학위 논문을 주제로 발표 및 토론한다.

MHJ804

고고학세미나4

(ARCHAEOLOGY : DIRECTION OF DISSERTATIONS 4)

박사학위 논문을 주제로 발표 및 토론한다.

MHJ805

고고학의쟁점1

(ISSUES IN ARCHAEOLOGY 1)

고고학의 현안 문제점에 대해 발표 및 토론한다.

MHJ806

고고학의쟁점2

(ISSUES IN ARCHAEOLOGY 2)

고고학의 현안 문제점에 대해 발표 및 토론한다.

MHJ807

고고학의쟁점3

(ISSUES IN ARCHAEOLOGY 3)

고고학의 현안 문제점에 대해 발표 및 토론한다.

MHJ808

고고학의쟁점4

(ISSUES IN ARCHAEOLOGY 4)

고고학의 현안 문제점에 대해 발표 및 토론한다.

MHJ809

고고학특수연구1

(ARCHAEOLOGY : ADVANCED SEMINAR 1)

주로 박사과정을 대상으로 고고학적인 주요 논점에 대해 검토한다.

MHJ810

고고학특수연구2

(ARCHAEOLOGY : ADVANCED SEMINAR 2)

주로 박사과정을 대상으로 고고학적인 주요 논점에 대해 검토한다.

MHJ811

고고학특수연구3

(ARCHAEOLOGY : ADVANCED SEMINAR 3)

주로 박사과정을 대상으로 고고학적인 주요 논점에 대해 검토한다.

MHJ812

고고학특수연구4

ARCHAEOLOGY : ADVANCED SEMINAR 4)

주로 박사과정을 대상으로 고고학적인 주요 논점에 대해 검토한다.

MHJ851

한국서화론연구

(THE STUDY OF KOREAN PAINTING AND CALLIGRAPHY : CRITICAL ISSUES AND METHODOLOGIES)

회화가 미술사의 대종으로서 예술정신의 정수를 담아낸 만큼 각 시대별 회화창작, 감상, 비평의 가치 와 기준을 파악해 보며 동시에 회화와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는 서화론도 포함하여 고찰한다. 아울러 중국 서화론과의 비교와 화론의 한국적 특성을 살펴본다.

MHJ852

한국불교미술사연구

(HISTORY OF KOREAN BUDDHIST ART)

삼국시대 이래 꽃피운 불교미술 가운데 불교조각과 불교회화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며 중앙아시 아, 중국, 일본 등 외국과의 관계는 어떠하였는지 살펴본다.

MHJ855

미술사학사연구

(HISTORY OF ART HISTORY)

미술사학의 연구방법론에 치중하여 동서양의 논저를 역사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19세기 이래의 양식 이론에 중점을 둔다.

MHJ858

미술사세미나1

(ART HISTORY : DIRECTION OF DISSERTATIONS 1)

미술사 관련 논문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과제를 정하여 발표 및 토론한다.

MHJ859

미술사세미나2

(ART HISTORY : DIRECTION OF DISSERTATIONS 2)

미술사 관련 논문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과제를 정하여 발표 및 토론한다.

MHJ860

미술사쟁점연구1

(ISSUES IN ART HISTORY 1)

미술사의 현안 문제점에 대해 발표 및 토론한다.

MHJ861

미술사쟁점연구2

(ISSUES IN ART HISTORY 2)

미술사의 현안 문제점에 대해 발표 및 토론한다.

MHJ862

미술사특강1

(ART HISTORY:ADVANCED LECTURE 1)

미술사의 연구방법론 및 주요논점에 대해 검토한다.

MHJ863

미술사특강2

(ART HISTORY:ADVANCED LECTURE 2)

미술사의 연구방법론 및 주요논점에 대해 검토한다.

MHJ864

미술사특수연구1

(ART HISTORY : ADVANCED SEMINAR 1)

주로 박사과정을 대상으로 미술사 관련 특정주제를 정하여 집중 연구한다.

MHJ865

미술사특수연구2

(ART HISTORY : ADVANCED SEMINAR 2)

주로 박사과정을 대상으로 미술사 관련 특정주제를 정해 집중 연구한다.

MHJ866

서예사연구

(HISTORY OF CALIGRAHY)

중국과 한국의 서예사를 고대부터 19세기까지 현존 자료와 인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 시대 별 양식 변천과 특성을 파악한다.

MHJ869

미술과문화연구1

(THE STUDY OF ART AND CULTURE1)

미술과 문화에 대한 특정 주제를 정하여 집중 연구 토론한다.

MHJ870

미술과문화연구2

(THE STUDY OF ART AND CULTURE2)

미술과 문화에 대한 특정 주제를 정하여 집중 연구 토론한다.

 

전공과목 (국제화공통)

학수번호

교과목명

과목개요

MHJ563

중국고고학연습

(CHINESE ARCHAEOLOGY : SEMINAR)

선사시대부터 역사시대에 이르기까지 중국고고학의 성과를 검토한다.

MHJ564

일본고고학연습

(JAPANESE ARCHAEOLOGY : SEMINAR)

선사시대 이래 연구된 일본고고학의 주요 성과를 검토한다.

MHJ565

동북아시아고고학연습

(NORTH-EASTERN ASIAN ARCHAEOLOGY : SEMINAR)

신석기­청동기시대에 나타나고 있는 동북아시아만의 특수한 고고학적 연관성을 살피기 위해 연구된 업적들을 검토하고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적 접근을 시도한다.

MHJ566

한중관계고고학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ARCHAEOLOGY)

선사-역사시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관계가 있는 한국과 중국이 고고학적으로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그간의 연구성과를 검토한다.

MHJ567

한일관계고고학

(COMPARATIVE STUDIES ON KOREAN AND JAPANESE ARCHAEOLOGY)

한국과 일본은 신석기시대 이래 많은 문화적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관계가 문헌적으로는 매우 미흡하기 때문에 고고학적인 측면에서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선사-역사시대에 이르는 양국의 고고학적인 자료를 검토하여 상호 관련성에 대해 연구한다.

MHJ626

서양근현대미술사연구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EUROPE AND AMERICA)

새로운 조류의 탄생의 사회적 배경, 작가의 예술선언등의 요소를 작품과 비교, 검증한다.

MHJ631

일본미술사연구

(HISTORY OF JAPANESE ART)

회화, 조각, 공예, 건축 등의 부문을 다루되 일본인의 미의식 탐구에 초점을 둔다.

MHJ632

인도미술사연구

(HISTORY OF LNDIAN ART)

회화, 조각, 건축 등 불교미술의 원류로서의 인도미술이 주변지역에 끼친 영향을 고찰한다.

MHJ637

동양미술사특강

(TOPICS IN FAR EASTERN ART)

한국 중국 일본 미술을 대상으로 최근의 저작, 전시, 연구동향을 분석하면서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MHJ638

중국회화사연구

(HISTORY OF CHINESE PAINTING)

고대부터근 현대까지나타난중국회화사의주요쟁점을다루며, 특히주변지역에끼친영향에치중한다.

MHJ639

중국근현대미술사연구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CHINA)

전통미술이 급변하는 시대조류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고찰한다. 외래미술과의 관계도 아우른다.

MHJ643

중국공예사연구

(HISTORY OF CHINESE HANDCRAFTS)

한대부터 청대까지 중국 공예의 시대별 특성과 양식 변천을 파악하고 우리 공예와의 연관성을 살펴본다.

MHJ644

중국불교미술사연구

(HISTORY OF CHINESE BUDDHIST ART)

중국의 불교 조각과 불교 회화의 각 시대 별 특성과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인도와 우리와의 교류 관계 를 고찰한다.

MHJ645

동양도자사연구

(STUDY ON THE EASTEN ASIA CERAMIC HISTORY)

중국, 일본, 한국 및 동남아시아 각국 도자사의 기원과 발전을, 상호교류와 무역을 통해 살펴봄으로 써, 그 양식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MHJ853

동양화론연구

(THE STUDY OF ORIENTAL ART THEORY)

주요 텍스트를 선정,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화론과 당대회화의 관계를 고찰한다.

MHJ868

중국도자사연구

(HISTORY OF CHINESE CERAMICS)

한대부터 청대까지 중국 도자의 각 시대별 특성과 변천 과정, 대외 교류 상황을 파악하고 중국 미술사 에서 도자사의 위치와 그 의의를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