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 |
|
---|---|
2019’ | 10월고고미술사학과 30주년 기념식 문화스포츠관 준공식 |
2017’ | 3월문화스포츠대학 출범 문화콘텐츠전공 신설 |
2005’ | 7월매장문화재연구소를 고고환경연구소로 연구소명칭 변경 |
2004’ | 5월서창특성화로 어문학부 중어중문학과를 중국학부로 분립 |
2003’ | 7월모집단위를 인문대학에서 어문학부와 인문사회학부로 분리 |
2001’ | 7월어문학부와 인문사회학부를 인문대학으로 통합(26일) |
1990’~ |
|
1999’ | 4월학부제 시행에 따른 직제 개편(2일) 3월학부제 시행에 따른 학칙개정 단행(19일) 인문대학에 어문학부와 인문사회학부를 둠 2월학부제 시행에 따른 교과과정 개편 단행 |
1998’ | 4월부설 북한학연구소 설립(22일) 3월학부제 시행안 확정(19일) |
1997’ | 7월인문정보대학원 신설(25일) 문예창작학과 신설(25일) |
1996’ | 4월인문대학에 북한학과(정원30명)신설 |
1995’ | 4월부설 매장문화연구소 설립 |
1994’ | 4월세종캠퍼스 虎像 제막(11일) |
1980’~ |
|
1988’ | 10월인문대학에 고고미술사학과 신설(29일) |
1987’ | 11월조치원캠퍼스 명칭을 세종캠퍼스로 정식 제정(1일) 10월직제개편으로 세종캠퍼스의 문리대학을 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으로 개편(23일) |
1986’ | 11월부설 한국학연구소 설립(7일) 10월편제개편으로 문리, 경상대학 교학과를 교무과와 학생과로 분리(2일) |
1982’ | 10월조치원분교를 문리대학과 경상대학으로 편제 개편(20일) |
1981’ | 2월조치원분교 현지이전(23일) |
1980’ | 1월조치원분교 설치인가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신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