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위 또는 학위 : 교수
Tel : 044-860-1617
E-mail : sechoi@korea.ac.kr
연구분야 : 사회약학(Pharmaceutical Economics and Policy)
Sang-Eun Choi, Ph. D
Associate Professor of Pharmaceutical Economics and Policy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세종특별자치시 세종로 2511, 30019, 대한민국
Phone : +82-44-860-1617
Fax : +82-44-860-1617
E-mail : sechoi@korea.ac.kr
Education
Institution | Degree | Year | Field of Study |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 B.S. | 1993 | Pharmacy |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 M.S. | 1996 | Health Policy |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 Ph.D. | 2005 | Health Policy |
Positions and Employment
Institution | Years | Position |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 Mar. 1993 - Feb. 1994 | Research assistant |
Department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College of Medicine, SNU | Jul. 1997 - Aug. 1999 | Researcher |
Korea Medical Consulting Co. Ltd. | Sep. 1999 - Jul. 2001 | Consultant |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 Sep. 2001 - Jun. 2002 | Research fellow |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 Jun. 2002 – Jan. 2007 | Senior researcher |
College of Pharmacy, SNU | Feb. 2007- Dec. 2010 | Assistant professor |
College of Pharmacy, Korea University | Jan. 2011- Present | Assistant professor |
학력사항
⦁ 1995년 3월 ~ 1999년 2월;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약학사, 약학전공)
⦁ 1999년 3월 ~ 2001년 2월;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원 (약학석사, 생약학전공)
⦁ 2001년 3월 ~ 2007년 2월;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원 (약학박사, 생약학전공)
주요경력
⦁ 2013년 2월 ~ 현재; 고려대학교 약학대학, 조교수, 부교수
⦁ 2013년 3월 ~ 현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겸임조교수, 겸임부교수
⦁ 2012년 3월 ~ 2013년 2월; 서울대학교 종합약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연구조교수
⦁ 2009년 9월 ~ 2011년 11월; 미시간주립대학교, Visiting Research Associate
⦁ 2007년 10월 ~ 2009년 8월; 서울대학교 BK21 응용생명약학사업단, 연수연구원
⦁ 2007년 3월 ~ 2009년 8월; ㈜엘컴사이언스, 생명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2007년 3월 ~ 2007년 9월;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종합약학연구소, 선임연구원
학회/대외활동
⦁ 2017년 1월 ~ 현재; 대한약학회 영문지편집간사
⦁ 2016년 2월 ~ 현재; 한국약학교육평가원, 약학대학 및 실무실습교육기관 평가위원
⦁ 2014년 8월 ~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 중앙약사심의위원회전문가단, 전문가
⦁ 2017년 1월 ~ 2017년 12월; 한국생약학교수협의회, 재무이사
⦁ 2015년 1월 ~ 2016년 12월; 한국생약학회, 재무이사
⦁ 2014년 1월 ~ 2016년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 「천연물의약품 산업발전협의체」 기준∙규격분과, 위원
⦁ 2014년 1월 ~ 2015년 12월;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 운영위원
⦁ 1999년 3월 ~ 현재; 한국생약학회 학생회원, 정회원, 종신회원, 대의원
⦁ 1999년 10월 ~ 현재; 대한약학회 학생회원, 정회원
주요 연구 분야
1. | 보건 의료 기술 평가(Health Technology Assessment) |
2. | 의약품 경제성 평가(Economic Evaluation of Pharmaceuticals) |
3. | 의약품 보험 등재 및 가격 결정에 관한 건강 보험 정책(Health Insurance Reimbursement and Pricing of Pharmaceuticals) |
4. | 제약 산업 및 의약품 안전 관리 정책(Policies related to pharmaceutical industry and drug safety) |
5. | 약국 및 약사 정책(pharmacy and pharmacist policy) |
연구프로젝트
(1) 국내외 제약회사 지원 연구
기간 | 연구명 |
2017-2018 | NSCLC환자를 위한 맞춤형 치료제의 경제성평가 |
2017-2017 | 조기유방암 환자의 예후 예측을 위한 진단검사의 경제성평가 |
2015-2016 | 한국 C형 간염환자를 위한 신약의 경제성평가 |
2014~2015 | 특발성 폐섬유화증 환자에 대한 신약 경제성 평가 |
2014~2015 | 한국 CAD환자를 위한 생체흡수성 스텐트의 경제성 평가 |
2014~2014 | 만성폐쇄성폐질환 치료에 대한 신약의 경제성 평가 연구 |
2013~2014 | 한국의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대상 신약의 경제성 평가 |
2013~2014 | Measur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tility and Productivity of Korean COPD patients |
2013~2014 | Local Adaptation of Economic Model for the Type 2 Diabetes Treatments |
2012~2013 | New Drug Health Economic/CEA at the South Korean Context |
2012~2012 | 신약 이식면역억제제의 비용-효과 분석 |
2011~2012 | Cost-effectiveness analysis of new drug for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in Korea |
(2)정부기관 지원 연구
기간 | 연구명 | 지원기관 |
2021-2021 | 환자중심 희귀필수의약품 전주기 안전관리 공급체계 혁신 방안 연구 | 식품의약품안전처 |
2020-2020 | 규제과학 혁신 지원방안 연구 | 식품의약품안전처 |
2017-2019 | 보건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의료기술의 조기경제성평가 방법 및 적용방법 개발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18-2020 |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전략에 따른 비용-효과 분석 | 질병관리본부 |
2016-2018 | 제외국과의 약가비교 및 평가 지침 개발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2016-2016 | 안전상비의약품 판매 실태조사 | 보건복지부 |
2015-2016 | 외국 7개국의 약가구조 검토 연구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2015~2016 | 암환자의 동반진단기기와 표적치료제 관련 경제성 연구 | 미래창조과학부 |
2013~2014 | 치료재료 사후관리 개선방안 연구 | 국민건강보험공단 |
2013~2013 | 약가협상 및 약품비 관리제도 발전방향 연구 | 국민건강보험공단 |
2012~2012 | 적정보상을 위한 약국의 지불제도 개선 공동연구 | 국민건강보험공단 |
2011~2011 | 환산지수 표준모형 개발 및 진료비 예측가능한 제도 공동연구 | 국민건강보험공단 |
2011~2011 | 의약품 제조소 공장등록제 도입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 식품의약품안전청 |
Selected peer-reviewed articles
1. | Gyeong-Seon Shin and Sang-Eun Choi*, The Impact of Preventive Dental Check-up on the Oral Health: Based on the 7th(2016-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ealth and Welfare, 22(4), 2020. 12 |
2. | 신경선, 최상은*, 국내 만성 질환자의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실태와 영향 요인, 대한보건연구, 46(3), 2020. 8 |
3. | Eunyoung Lee, Anhye Kim, Young-Min Ye, Sang-Eun Choi, and Hae-Sim Park, Increasing Prevalence and Mortality of Asthma With Age in Korea, 2002-2015: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Allergy Asthma Immunol Res. 2020 May;12(3):467-484. |
4. | Eunmi Bae, Sang-Eun Choi*, Haeyoung Lee, Gyeongseon Shin & Daewon Kang, Validity of EQ-5D utility index and minimal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 estimation among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BMC Pulmonary Medicine volume 20, Article number: 73 (2020) |
5. | Jaeok Lim, Sang-Eun Choi*, Eunmi Bae, Daewon Kang, Eun-A Lim & Gyeong-Seon Shin. Mapping analysis to estimate EQ-5D utility values using the COPD assessment test in Korea,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volume 17, Article number: 97 (2019) |
6. | Hye-Young Kwon, Seungjin Bae, Sang-eun Choi, Sylvia Park , Eui-Kyung Lee, Sungmin Park, Jinhyun Kim, Easy cuts, easy rebound: Drug expenditures with massive price cuts in Korea,H EALTH POLICY(Volume 123, Issue 4, April 2019 |
7. | Jae-Won Yun, Min Joo Choi, Gyeong-Seon Shin, Jae-Ok Lim, Ji Yun Noh, Yun-Kyung Kim, Joon Young Song, Woo Joo Kim, Sang-Eun Choi*, Hee Jin Cheong*, Cost-effectiveness of influenza vaccine strategies for the elderly in South Korea,PLOS ONE(2019.3) |
8. | 국내 만성 질환자의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실태와 영향 요인, 대한보건연구(2020. 8) |
9. | 조기 경제성평가에 따른 불확실성 존재 하에서 의사결정을 위한 VOI 이해 및 활용,약학회지(2020.2) |
10. | 국내 폐암환자 전수 자료를 활용한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EGFR 유전자변이에 따른 일차약으로서 개별맞춤형치료의 비용효과성 평가,보건경제와 정책연구(2018.6) |
11. | 급성심부전 환자의 의료이용행태와 의료비 추이: 2013-2016 건강보험 입원환자청구자료 분석,보건의료기술평가(2018.6) |
12. | 임은아, 최상은, 국내 폐암환자 전수 자료를 활용한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EGFR 유전자변이에 따른 일차약으로서 개별맞춤형치료의 비용효과성 평가,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4(2), 2018. 6 |
13. | Daewon Kang, Eun-A Lim, Eunmi Bae, Gyeong-Seon Shin and Sang-Eun Choi*, Drug Classification Systems in Selected Countries, FDC Regulatory Sciences, 2017. 2, 1-10 (in Korean) |
14. | ang-Eun Choi and Eun-A Lim, Companion Diagnostics and Targeted Therapy at the Korean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Context, Journal of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2016;4(2):44-5 (in Korean) |
15. | Eun-A Lim, Haeyoung Lee, Eunmi Bae, Jaeok Lim, Young Kee Shin, Sang-Eun Choi*, Economic Evaluation of Companion Diagnostic Testing for EGFR Mutations and First-Line Targeted Therapy in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in South Korea, PlosOne,2016,11(8)(inEnglish) |
16. | Sang-Eun Choi*, Melanie Brignone, Seong Jin Cho, Hong Jin Jeon, Rangrhee Jung, Rosanne Campbell, Clement Francois & Dominique Milea, Cost-Effectiveness of vortioxetine versus venlafaxin(extended release) in the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South Korea, ExpertReviewofPharmacoeconomics&OutcomesResearch,2016,16(5);629-638(inEnglish) |
17. | Hyun Soon Sohn, Seong-Ok Kim, Kyung-Mi Joo , Hyekyung Park , Euna Han , Hyung Tae Ahn , and Sang-Eun Choi*, Pharmacists’ Perceptions of Barriers to Providing Appropriate Pharmaceutical Services in Community Pharmacies, KoreanJournalofClinicalPharmacy,2015, 25(2);94-101 (in English) |
18. | YongJoo Rhee*, Sangil Jun, and Sang-Eun Choi,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Patient-Reported Outcomes & Quality of Life Measure: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Korea, JournalofHealthTechnologyAssessment,2015,3(1);48-58(in Korean) |
19. | Jaeok Lim, Hyun-Seok Yang, Sang-Eun Choi, Won-Nyeon Kim*, Cigarette Smoking and Risk of Cardiovascular and Lung Disease in Korea: a Cross-Sectional Survey Data Analysis, JournaloftheKoreanDataAnalysisSociety,2015,17(8);3131-3140(in Korean) |
20. | Eun-A Lim, Hyun-Soon Sohn, Haeyoung Lee and Sang-Eun Choi*, Cost-utility of ferric carboxymaltose (Ferinject®) for iron-deficiency anemia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in South Korea, CostEffectivenessandResourceAllocation,2014,12(1)(in English) |
21. | Seong-Ok Kim and Sang-Eun Choi, Comparative Study on Budget Impact Analysis Guideline of Canada, Poland, Belgium and Ireland, JournalofHealthTechnologyAssessment2014;2(1):53-63(in Korean) |
22. | Sang-SubPark, Sang-EunChoi*,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the accident and injury occurrence and the absence appearance of adults in South Korea, TechnologyandHealthCare,2014,22(3);369-377(in English) |
23. | Chelim Cheong, Sang-Eun Choi*, Global trends in remuneration systems for community pharmacy services and implications to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013, 19(4); 129-151 (in Korean) |
24. | Chelim Cheong, Sang-Eun Choi, Hwayoung Lee and Jini Kim, Variations in Pharmacy Payment of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a New Taxonomy of Community Pharmacies, Yakhak Hoeji, 57(1):63~69, 2013 |
25. | Min Kyoung Lim, Eun Young Bae, Sang-Eun Choi, Tae-Jin Lee, Eliciting public preference for health care resource allocation in South Korea, Value in Health, 15(1):91-94, 2012 |
26. | SeongOk Kim, Sang-Eun Choi, Improving price-volume arrangement system by linking expenditure target with pharmaceutical price negoti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Vol.17 (3), 2011 |
27. | Jeong-Ae Park, Sang-Eun Choi, Cost-effectiveness analysis of antidepressants in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Vol.16 (2), 2010 |
28. | Sang-Eun Choi,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Pharmacoeconomic Evaluation in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41(2):74-79, 2008 |
29 | Sang-Eun Choi, Ju-young Shin, The Volume and the Price of Generic Drug Consumption in Korea Prescription Drug Marke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Vol.14, No.1, 2008 |
30. | Hyun Soon Sohn, Seong-Ok Kim, Kyung-Mi Joo, Hyekyung Park, Euna Han, Hyung Tae Ahn, and Sang-Eun Choi, Pharmacist's Perceptions of Barriers to Providing Appropriate Pharmaceutical Services in Community Pharmaci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ol.25, No. 2, 2015 |
31. | YongJoo Rhee, Sangil Jun, and Sang-Eun Choi,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Patient-Reported Outcomes & Quality of Life Measure: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Korea, Journal of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Vol.3, No. 1, 2015 |
32. | Eun-A Lim, Hyun-Soon Sohn, Haeyoung Lee, and Sang-Eun Choi, Cost-utility of ferric carboxymaltose (Ferinject®) for iron-deficiency anemia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in South Korea, Cost Effectiveness and Resource Allocation, Vol.12, No.1, 2014 |
33. | Park, Sang-Sub, and Sang-Eun Choi,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the accident and injury occurrence and the absence appearance of adults in South Korea, Technology and Health Care, Vol. 22, No. 3 |
34. | Ahe Lim Cheong, and Sang-Eun Choi, Global trends in remuneration systems for community pharmacy services and implications to Korea, 보건경제와 정책연구Vol. 19, No. 4 |
사회약학이란?
기존의 약학 분야는 화학, 생화학, 물리, 생리학등이 주축이 되는 학문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그러나 의약품은 인간에게 적용되는 것으로 국가의 보건 체계 및 문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고, 자연과학 지식의 습득만으로는 충분한 시야를 얻을 수 없습니다. 의약품의 복잡성과 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는 현대 사회에서는 자연과학뿐만 아니라 사회, 사회심리, 정치, 법, 역사, 경제학적 지식을 갖춘 인력이 필요하며, 사회약학은 그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학문입니다. 사회약학에서는 의약품을 사회/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며, 관련 주제로는 의약품 사용에 관련된 사회적 요인인 약과 건강에 대한 믿음, 태도, 규칙, 행동, 관계등이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사회적 측면을 연구하는 분야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법이 약의 개발과 승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새롭게 개발된 제품이 어떻게 건강과 보건재정에 영향을 미치는가?
- 약사 교육 시스템이 다른 나라들에서는 어떻게 의약품이 분배되는가?
소비자 측면을 연구하는 분야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들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환자는 왜 처방전대로 약을 복용하는가? 또는 하지 않는가?
- 환자가 이해하는데 가장 효율적인 정보를 어떻게 전달할 수 있는가?
- 약사는 어떻게 환자의 약 관련 문제 및 부작용을 효율적으로 밝혀낼 수 있는가?
- 새로운 의약품 서비스를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까?
사회약학자들은 인문학과 사회과학적 이론을 토대로 위와 같은 질문들에 대해 과학적으로 기술하고 설명하여 연구원, 정책 입안자, 약사 및 다른 의료인/보건의료인, 환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최근의 연구 경향으로는 약물경제학과 같이 의약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사회적 영향을 파악하는 융합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고려대학교 사회약학 연구실에서는 다음과 같이 사회, 역학, 보건, 경제등의 분야를 다루는 수업을 제공하며, 신약 등의 경제성 평가 및 정책 연구를 주 과제로 삼고 있습니다.
Lab Members
![]() | 임은아 겸임교수 E-mail : cosmoo@korea.ac.kr 관심분야 : 약물경제학, 약가정책, 의약품 등 인허가제도, 역학통계, 의약품 특허제도 | ![]() | 강대원 연구교수 E-mail : dwkang85@gmail.com 관심분야 : 약물경제학, 희귀질환 관련정책, 약가정책 |
![]() | 배은미 연구교수 E-mail : embae@korea.ac.kr 관심분야: 신의료기술의 경제성평가,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ecision analytic modeling | ![]() | 김상요 재학생 E-mail : skykim91@korea.ac.kr |
![]() | 조예진 재학생 E-mail : choyejin@korea.ac.kr | ![]() | 김상현 재학생 E-mail : sangs444@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