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화학 분야를 선도할 고급 과학 인력 양성!신소재화학과
위치
과학기술관 4층전화
044-860-1330팩스
044-860-1331
위치
과학기술관 4층
전화
044-860-1330
팩스
044-860-1331
신소재화학과는 반도체, 정밀 세라믹, 액정, 기능성 고분자, 유기금속 화합물, 나노구조물질 및 초전도체 등 최신의 신소재에 관련한 정밀화학 분야를 선도할 고급 과학 인력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은 화학의 기초인 재료과학, 물리화학, 유기화학, 무기화학 및 분석화학의 이론과 실험의 과목을 교육하며 신소재와 관련되는 화학과 기술을 공부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졸업 후 산업체 현장에서 배운 지식을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대학원, 연구기관에서의 고급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본을 갖추게 한다.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융복합 전문인력
화학을 바탕으로 이론과 실험을 통해 산업 발전에 필요한 실용적 신소재에 대한 창의적인 접근이 가능한 융복합 신소새 및 화학인력 양성
인성과 도전전싱을 가진 협력형 인재
과학지식과 함께 합리성, 책임성, 도덕성을 갖추어 공통체와 가치를 공유할 수 있는 인성과, 새로운 사회변화에 필요한 도전정신, 다양한 배경의 인력들과 소통할 수 있는 협력형 인력 양성
인류에 공헌할 수 있는 글로벌 리더
글로벌한 관점에서 문제를 바로보고, 타문화 및 외국어능력을 가진 글로벌 리더의 양성
화학 전반에 걸친 기본 지식과 탐구방법을 이론 및 실험교육을 통하여 습득하여 기본 연구능력을 습득하고, 산업발전과 연관된 다양한 신소재의 물성 및 합성에 대해 학습하여, 물질에 대한 자연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창조적이고 실용적인 신소재 및 화학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올바른 신소재화학인재로서 필요한 인성과 글로벌 능력을 갖추어 국가 및 사회, 인류에 기여하는 건전한 지식인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름 | 직위 | 전화번호 | 이메일 | 연구분야 | 학력 |
---|---|---|---|---|---|
강상욱 | 교수 | 044-860-1334 | sangok@korea.ac.kr | 무기 | University of Pennsylvania 무기화학과 이학박사 |
박정희 | 교수 | 044-860-1336 | parkjh@korea.ac.kr | 유기 | Columbia 대학 화학과 박사 |
유병우 | 교수 | 044-860-1338 | bwyoo@korea.ac.kr | 물리 | University of Pittsburgh 유기화학과 박사 |
김환규 | 교수 | 044-860-1493 | hkk777@korea.ac.kr | 유기 및 고분자 | 미국 Carnegie Mellon University 화학과 이학박사 |
황성필 | 교수 | 044-860-1332 | sphwang@korea.ac.kr | 분석 | KAIST, Department of Chemistry Ph. D. 2005 |
손호진 | 교수 | 044-860-1492 | hjson@korea.ac.kr | 무기 | Ph.D. Korea University, Sejong, Department of Materials Chemistry |
김철훈 | 부교수 | 044-860-1337 | chulhoon@korea.ac.kr | 물리 | Ph.D. in Physical chemistry, POSTECH, South Korea |
신재윤 | 조교수 | 044-860-1453 | jaeyoonshin@korea.ac.kr | 물리 | Ph.D., 2015 University of Wisconsin - Madison, Department of Chemistry |
화학 관련 국립, 정부출현 및 기업 등의 연구기관에서 신소재 화학에 관한 개발연구에 참여할 수 있고, 석유화학, 고분자화학, 제약 및 유, 무기화학 등의 전통적인 화학 산업체에 진출하여 화학 지식을 이용한 업무를 한다. 물론 신소재 분야인 반도체, 액정 등의 산업체에서 새로운 영역을 확장하고 개발한다. 이상의 hardware와 아울러 신소재와 화학을 기초로 한 software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시간) | 선수과목 | 비고 |
---|---|---|---|---|
NMCH201 | 유기화학I | 3(3) | 전공필수 | |
NMCH202 | 유기화학II | 3(3) | 전공선택 | |
NMCH203 | 물리화학I | 3(3) | 전공필수 | |
NMCH204 | 물리화학II | 3(3) | 전공선택 | |
NMCH209 | 분석화학I | 3(3) | 전공필수 | |
NMCH211 | 전산화학 | 3(3) | 전공선택 | |
NMCH212 | 기기분석 | 3(3) | 전공선택 | |
NMCH213 | 신소재화학개론I | 3(3) | 전공선택 | |
NMCH214 | 신소재화학개론II | 3(3) | 전공선택 | |
NMCH215 | 유기화학실험 | 1(3) | 전공필수 | |
NMCH216 | 분석화학실험 | 1(3) | 전공필수 | |
NMCH218 | 분석화학II | 3(3) | 전공선택 | |
NMCH220 | 화학수학 | 3(3) | 전공선택 | |
NMCH307 | 유기화학Ⅲ | 3(3) | 전공선택 | |
NMCH308 | 유기화학특론 | 3(3) | 전공선택 | |
NMCH327 | 무기화학I | 3(3) | 전공필수 | |
NMCH328 | 무기화학II | 3(3) | 전공선택 | |
NMCH329 | 물리화학Ⅲ | 3(3) | 전공선택 | |
NMCH333 | 전기화학 | 3(3) | 전공선택 | |
NMCH334 | 반응속도론 | 3(3) | 물리화학ⅠㆍⅡ, 미적분학및연습ⅠㆍⅡ | 전공선택 |
NMCH335 | 물리화학실험 | 1(3) | 전공필수 | |
NMCH336 | 유기분광학 | 3(3) | 전공선택 | |
NMCH338 | 무기화학실험 | 1(3) | 전공필수 | |
NMCH342 | 디스플레이신소재 | 3(3) | 전공선택 | |
NMCH343 | 이론유기화학 | 3(3) | 전공선택 | |
NMCH344 | 유기광화학 | 3(3) | 전공선택 | |
NMCH345 | 전공연구실험Ⅰ | 1(3) | 전공선택 | |
NMCH346 | 전공연구실험Ⅱ | 1(3) | 전공선택 | |
NMCH348 | 양자화학 | 3(3) | 전공선택 | |
NMCH421 | 인턴쉽Ⅰ | 2(4) | 전공선택 | |
NMCH422 | 인턴쉽Ⅱ | 2(4) | 전공선택 | |
NMCH423 | 졸업논문연구Ⅰ | 1(3) | 전공별개별연구ⅠㆍⅡ | 전공필수 |
NMCH424 | 졸업논문연구Ⅱ | 1(3) | 전공별개별연구ⅠㆍⅡ | 전공필수 |
NMCH425 | 신소재화학특론Ⅰ | 3(3) | 전공선택 | |
NMCH426 | 신소재화학특론Ⅱ | 3(3) | 전공선택 | |
NMCH427 | 유기금속화학 | 3(3) | 전공선택 | |
NMCH428 | 생명화학 | 3(3) | 일반화학및연습ⅠㆍⅡ, 유기화학ⅠㆍⅡ | 전공선택 |
NMCH429 | 고분자화학 | 3(3) | 전공선택 | |
NMCH431 | 입체유기화학 | 3(3) | 전공선택 | |
NMCH432 | 표면화학 | 3(3) | 전공선택 | |
NMCH434 | 고체화학 | 3(3) | 전공선택 | |
NMCH435 | 유기합성 | 3(3) | 전공선택 | |
NMCH436 | 고분자물성 | 3(3) | 전공선택 | |
NMCH438 | 소재의약화학 | 3(3) | 전공선택 | |
NMCH003 | TopIcCourse | 3(3) | 전공선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