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 기획, 문화콘텐츠 비즈니스 인재 양성!문화콘텐츠전공
-
위치
문화스포츠관 203호 -
전화
044-860-1650 -
팩스
044-860-1281
위치
문화스포츠관 203호
전화
044-860-1650
팩스
044-860-1281
기대합니다,
내일의 KU-S.T.A.R!!
오늘, 문화콘텐츠는 그 무엇보다 유망한 비즈니스 중의 하나입니다.
내일, 문화콘텐츠는 그 누구에게나 사랑받을 수 있는
매력적인 비즈니스입니다.
민족의 교육을 이끌어온 고려대학교,
그 안에서 문화콘텐츠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문화콘텐츠 전공에서 내일의 STAR를 기다립니다.
모두가 내일의 STAR가 되어 있는 내일을 꿈꾸며...
도전, 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전공은 4년 내내 흥미롭고 재미있는 곳입니다.
향유자들이 좋아하는 문화콘텐츠는 어떤 형태로든지 그들에게 재미와 즐거움을 주는 것입니다. 무엇이 향유자들에게 재미를 전해주며 즐거움을 나누어 줄 수 있는가, 이에 대해 연구하고 그러한 문화콘텐츠를 만들어가는 것이 문화콘텐츠전공의 모든 것입니다. 학습하는 과정도 재미있고, 그 결과도 재미있게, 그렇기 때문에 4년 내내 흥미롭고 재미있는 곳이 바로 문화콘텐츠 전공입니다.
문화콘텐츠전공은 이론과 실기의 적절한 조화를 추구합니다.
이론만으로는 곤란합니다. 그렇다고 실기만을 강조하는 것도 곤란합니다. 경쟁력 있는 문화콘텐츠는 철저하게 이론과 실기의 조화를 통해 탄생합니다. 고려대학교 문화콘텐츠전공에서는 다양한 장르의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론적 탐구와 함께 현장에서 일하는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수준 높은 실기교육을 실시합니다. 이론과 실기의 적절한 조화를 통해 좋은 콘텐츠를 생각해내고, 그것을 완성도 있게 만들어낼 수 있는 유능한 문화콘텐츠 인재를 키웁니다.
문화콘텐츠는 인문학 기반 분야들 중 가장 유망한 분야 중 하나입니다.
향유자에게 재미와 즐거움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인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그것이 바로 인문학입니다. 인문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문화콘텐츠들이 탄생하고 있으며, 한류의 세계적 성과에서 볼 수 있듯이 이들은 폭발적인 산업적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그 산업적 성과는 곧 문화콘텐츠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더 많은 진출 기회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문화콘텐츠는 인문학 기반 분야들 중 가장 유망한 분야 중 하나입니다.
탄생, KU-S.T.A.R!
KU-STAR는 고려대학교의 문화콘텐츠전공이 목표로 하는 인재상입니다.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활약하기 위해 필요한 자질들을 함양하고,
한 사람의 직업인으로서 지녀야 할 태도를 형성시킴으로써
대한민국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환영받는 최고의 STAR로 키웁니다.
KU-STAR는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철저한 학생관리를 통해 탄생합니다.
단순한 지식의 전수만으로 유능한 문화콘텐츠 인재를 키울 수는 없습니다.
4년 동안 교육과정은 물론, 학생 개개인의 철저한 관리를 통해
우수한 자질과 건전한 태도를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름 | 직위 | 전화번호 | 이메일 | 연구분야 | 학력 |
---|---|---|---|---|---|
김정우 | 교수 | 044-860-1651 | 광고 및 브랜드 마케팅 전공 |
고려대 학사 | |
안남일 | 교수 | 044-860-1652 | 스토리텔링 및 축제 기획 |
고려대 학사 | |
홍종열 | 부교수 | 044-860-1654 | herr_hong@korea.ac.kr | 문화콘텐츠정책 및 문화경영 |
독일 트리어대 학사 한국외국어대 문화콘텐츠학 박사 |
김광훈 | 부교수 | 044-860-1653 | kkh21@korea.ac.kr | 문화행정 및 문화예술콘텐츠 | 고려대 문화콘텐츠학 박사 |
발견, 나의 새로운 내일!
크리에이티브한 삶을 위한 - 문화콘텐츠 제작 분야
창의적인 재능을 바탕으로 영화, 광고, 방송, 출판, 게임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의 제작 분야에 진출, 문화콘텐츠 산업의 첨병에 설 수 있습니다. 학창시절의 이론적 바탕을 기반으로 현장 실무자로부터 배우는 실무 능력을 통해 좋은 문화콘텐츠들을 제작함으로써 자신의 다양한 재능을 펼칠 수 있습니다.
유망한 비즈니스 현장에 도전하는 - 문화콘텐츠 기획 및 비즈니스 분야
영화, 광고, 방송, 출판, 게임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기획하고, 그 비즈니스 현장에 진출함으로써 현재 가장 유망한 비즈니스 분야 중 하나인 문화콘텐츠 산업의 중심에 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일하는 기획 및 비즈니스 전문가들의 지도, 다양한 사례 중심의 수업을 통해 오늘날 가장 유망한 비즈니스 중의 하나인 문화콘텐츠 기획 및 비즈니스 분야에 진출할 수 있습니다.
나를 업그레이드 시키는 – 문화콘텐츠 분야 대학원 진학
문화콘텐츠를 학문으로서 관심이 있는 경우, 대학원에 진학하여 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일하는 많은 선배들과 교류하면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 자신의 지식을 펼쳐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선택, 문화콘텐츠 프로페셔널의 길!
이론과 현장경험을 갖춘 교수님들의 전문성 높은 강의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초역량부터
기반지식, 전공지식, 실무역량까지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교육과정들이
문화콘텐츠 프로페셔널로 성공하고 싶은 여러분의 선택을 기다립니다.
깊이 있고 명쾌한 이론 강의, 현장 실무자들의 유익한 실무 강의,
다양한 실습 강의 등 문화콘텐츠 전반에 걸친 다채로운 체험이 가능합니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시간) | 이수구분 |
CULC251 | 콘텐츠잉글리시Ⅰ | 3(3) | 전공 필수 |
CULC252 | 콘텐츠잉글리시Ⅱ | 3(3) | |
CULC351 | 콘텐츠잉글리시Ⅲ | 3(3) | |
CULC408 | 문화콘텐츠현장탐방 | 1(1) | |
CULC410 | 졸업작품 | 2(2) | |
CULC121 | 프로젝트학기Ⅰ | 3(0) | 전공선택 |
CULC122 | 프로젝트학기Ⅱ | 3(0) | |
CULC123 | 프로젝트학기Ⅲ | 3(0) | |
CULC124 | 프로젝트학기Ⅳ | 3(0) | |
CULC125 | 프로젝트학기Ⅴ | 3(0) | |
CULC201 | 문화콘텐츠론 | 3(3) | |
CULC202 | 문화콘텐츠산업론 | 3(3) | |
CULC203 | 소셜커뮤니케이션론 | 3(3) | |
CULC204 | 스마트미디어론 | 3(3) | |
CULC205 | 문화콘텐츠와인문지식Ⅰ | 3(3) | |
CULC206 | 문화콘텐츠와인문지식Ⅱ | 3(3) | |
CULC207 | 문화콘텐츠테크놀로지론 | 3(3) | |
CULC208 | 문화콘텐츠와공간 | 3(3) | |
CULC209 | 캐릭터의분석과창조 | 3(3) | |
CULC210 | 지적재산권의이해와관리 | 3(3) | |
CULC211 | 문화콘텐츠향유자의이해 | 3(3) | |
CULC212 | 창의적발상의방법과계발 | 3(3) | |
CULC213 | 문화콘텐츠마케팅 | 3(3) | |
CULC214 | 스토리텔링의전략과활용 | 3(3) | |
CULC216 | 케이컬쳐의오늘과내일 | 3(3) | |
CULC301 | 전자책의이해와기획 | 3(3) | |
CULC302 | 영화의기획및마케팅 | 3(3) | |
CULC303 | 관광및축제콘텐츠개발과운영 | 3(3) | |
CULC304 | 애니메이션기획 | 3(3) | |
CULC305 | 소셜미디어활용전략 | 3(3) | |
CULC306 | 사진의이해와표현 | 3(3) | |
CULC307 | 웹콘텐츠의기획과개발 | 3(3) | |
CULC308 | 온-오프라인이벤트활용전략 | 3(3) | |
CULC309 | 커뮤니케이션디자인론 | 3(3) | |
CULC310 | 향유자경험의설계와활용전략 | 3(3) | |
CULC311 | 사회트렌드의이해와분석 | 3(3) | |
CULC312 | 웹콘텐츠제작실습 | 3(3) | |
CULC313 | 영상제작실습 | 3(3) | |
CULC314 | 문화콘텐츠세미나Ⅰ | 3(3) | |
CULC316 | 문화콘텐츠프로젝트Ⅰ | 3(3) | |
CULC317 | 디지털스토리텔링캡스톤디자인Ⅰ | 3(3) | |
CULC318 | 디지털스토리텔링캡스톤디자인Ⅱ | 3(3) | |
CULC319 | 공공이슈해결캡스톤디자인Ⅰ | 3(3) | |
CULC320 | 공공이슈해결캡스톤디자인Ⅱ | 3(3) | |
CULC352 | 글로벌문화의이해Ⅰ | 3(3) | |
CULC401 | 문화콘텐츠연출론 | 3(3) | |
CULC402 | 문화콘텐츠비즈니스 | 3(3) | |
CULC403 | 문화콘텐츠정책의이해 | 3(3) | |
CULC404 | 지역문화콘텐츠개발 | 3(3) | |
CULC405 | 문화콘텐츠와미학 | 3(3) | |
CULC406 | 문화콘텐츠큐레이션 | 3(3) | |
CULC407 | 프레젠테이션의전략과기술 | 3(3) | |
CULC409 | 문화콘텐츠세미나Ⅱ | 3(3) | |
CULC411 | 문화콘텐츠프로젝트Ⅱ | 3(3) | |
CULC413 | 마케팅콘텐츠캡스톤디자인Ⅰ | 3(3) | |
CULC414 | 마케팅콘텐츠캡스톤디자인Ⅱ | 3(3) | |
CULC451 | 글로벌문화의이해Ⅱ | 3(3) | |
CULC461 | 문화콘텐츠현장실습Ⅰ | 3(0) | |
CULC462 | 문화콘텐츠현장실습Ⅱ | 3(0) | |
CULC463 | 문화콘텐츠현장실습Ⅲ | 6(0) |